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7

상담의 중기단계 상담의 중기단계는 초기 단계가 끝날 무렵부터 상담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기까지의 전체 과정을 말한다. 중기단계의 가장 큰 특징은 초기 단계에서 설정된 상담 목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상담 작업이 행해진다는 데 있다. 즉, 초기 단계에서 잡힌 탄탄한 기틀을 바탕으로 내담자가 가진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해결 시도가 행해진다. 이런 의미에서 상담의 중기단계는 '문제해결 단계'라고도 부른다. 이는 상담의 핵심적 단계가 된다. 대개 상담자들은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상담기법이나 방법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의 성질이나 상담자가 활용하는 구체적인 상담 이론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이 부분에서는 상담의 중기단계에서 상담자들이 사용하는 구체적인 기법이나 방.. 2022. 8. 31.
상담의 목표 및 진행방식의 합의 (1) 상담 목표 정하기 상담은 배가 항해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배가 인천항을 출발하여 부산항으로 향하고 있다면, 인천항은 배의 출발점이 되고 부산항은 항해의 목표 지점이 된다. 상담도 마찬가지다. 내담자와 상담자가 얼굴을 맞대고 첫 대면을 하는 훈 간 상담은 출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상담이 어디로 향해 나가야 할지 상담 초기에 분명히 하지 않으면 상담은 표류하기 쉽다. 상담이 도달해야 할 지점을 상담의 목표라 하는데, 이것이 분명할수록 상담은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일차적 목표와 이차적 목표) 상담의 최우선적인 목표는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의 해결이다. 즉, 내담자가 상담받고자 하는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여 내담자의 생활 적응을 돕는 것이 상담의 일차적 목표다. 이런.. 2022. 8. 31.
상담의 진행과정 상담은 여러 번의 면접으로 이루어진다. 한두 번의 면접으로 문제가 해결되어 상담이 끝나기도 하지만, 대개 5~6회에서 20여 회까지 이르는 것이 보통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20회를 훨씬 넘어 몇 년에 걸쳐 상담이 진행되기도 한다. 상담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는 내담자가 제시하는 문제의 성질, 상담자가 취하는 이론적 접근, 그리고 상담자와 내담자가 처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상담은 처음부터 끝까지 항상 똑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며, 또 그렇게 되어서도 안 된다. 상담의 진행 과정이란 내담자와 처음 만났을 때부터 만남이 완전히 종료되기까지의 전체 과정을 말하는데, 상담의 초반부와 중반부, 그리고 후반부에서 행해져야 할 일들이 따로 있다. 상담의 각 부분에서 초점을 맞춰야 할 일들이 순조.. 2022. 8. 31.
상담자의 질문 질문은 상담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한다. 신중하고 적절하게 활용되는 질문은 상담의 훌륭한 수단이 되지만 불투명하거나 지나치게 많은 질문은 오히려 상담의 진행을 방해한다. 상담의 진행을 촉진하는 질문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을 살펴봐야 한다. 첫째, 상담자 자신이 질문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둘째, 상담자는 자신이 질문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셋째, 상담자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질문이 무엇무엇이며, 그중에서 즐겨 쓰는 질문의 유형이 어떤 것인지 검토해 봐야 한다. 넷째, 다른 방법으로 질문할 수 있는지 연구해야 한다. 다섯째, 상담자는 자신의 질문이 내담자에게 어떤 의미로 받아들이는지 파악해야 한다. 바람직한 질문의 형태는 어떤 것인가? 상담자의 질문은 가능한 한 개방적이어야 .. 2022. 8. 31.
반응형